꼴라쥬 기법은 유럽 전역의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서 더욱 발전되어간다. 에른스트의 스타일에 가장 충실한 투아이앙(Toyen)을 비롯하여 마송은 화폭에 풀의 액체, 모래가루까지 사용했으며 하우스만은 몽타쥬사진과 합성사진을 조합한다. 특히 체코의 스티리스키는 에른스트와는 달리 서사적 요소들을 꼴라쥬에 첨가하고, 지극히 절제된 조합, 잠재적 의미의 산출에 대한 체계적인 실험 등으로 독창적인 작업을 한다. 달리, 미로, 탕기 등도 그들이 자유롭게 변형시켜서 만든 오브제들의 몽타쥬를 꼴라쥬 기법과 연결시키면서 회화의 영역을 넓히고자 노력한다.
자동기술방식을 많이 사용했던 마송은 평면적 회화가 주는 자유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1927년 모래를 사용하여 작품 <모래 속에 묻힌 물고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아교를 칠한 캔버스 위에 모래를 뿌리고 깃털, 조개껍질 같은 재료들을 회화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미로는 검은 종이에다 그렸는가 하면 사포, 카드, 목재, 거친 삼베, 동판 혹은 섬유판에 그리기도 했으며, 템페라나 파스텔을 분말로 사용하기도 하고 인디언 잉크와 혼합해서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시와, 오브제, 꼴라쥬, 그리고 나무를 이용한 구성물을 제작해내기도 했으며, 또한 오래된 그림을 이용하여 깜짝 놀랄 만한 패러디를 연출하기도 했다.
1930년 3월 세느가 49번지의 게망화랑에서는 꼴라쥬 전람회가 열렸다. 이 전시회의 카탈로그에 아라공은 <모멸의 회화>라는 에세이를 썼는데, 여기에서 그는 회화가 ‘진통제적 여흥거리’로 전락했다고 맹렬하게 비난하고 꼴라쥬에 대한 희망을 피력했다.
그는 꼴라쥬야말로 질료와 주제, 그리고 장식에 대한 선입견을 극복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꼴라쥬는 타락한 미술 형태를 대신하여 과거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힘과 새로운 영역을 표현해 주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 화가가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나르시즘에 희생당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그리고 많은 종교에서는 금기로 되어 있지만 조형적 표현의 기원이었던 미술적 행위로 화가를 되돌려 보냄으로써 꼴라쥬는 과거 회화에 대한 요구의 진실한 의미를 회복시켜 준다.”
꼴라쥬에서 아라공은 경이로운 사물의 전도된 형태를 가지고 현실을 공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아내었다. 이에 그는 현실에서 빌려온 요소들을 사용할 때 그 유일한 목적이란 현실에 대한 공격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입장은 초현실주의자들 사이에서 꼴라쥬로부터 빚어진 새로운 희망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들 모두는 꼴라쥬야말로 일상의 진부함과 완고한 사상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라고 생각했다.